국민연금이란?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 연금 제도로, 국민 개개인이 소득 활동을 할 때 납부한 보험료를 기반으로 하여 나이가 들거나, 갑작스런 사고나 질병으로 사망 또는 장애를 입어 소득활동이 중단된 경우 본인이나 유족에게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기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금제도를 말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민연금 [國民年金, national pension] (행정학사전, 2009. 1. 15., 이종수)
국민연근은 현재 대한민국의 국정을 가진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은 모두 가입이 가능하며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국민연금에 의무로 가입을 합니다. 사업장에 가입되어 있으신 분의 경우 본인부담금 4.5%, 사업자 4.5%를 납입을 하며 본인 급여의 총 9%를 납부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현재 고갈문제로 굉장히 많은 논란이 빚어지고 있는 중입니다. 대략 2055년 이후에 고갈문제가 상당히 많이 대두가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분들이 국민연금 수령 가능여부에 대해 걱정이 많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납부는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니 내가 추후에 얼마의 금액을 수령 할 수 있는지 궁금하실 것 같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많은 분들이 국민연금을 납부하고 계실겁니다. 하지만 거의 매달 납부를 하는데 도대체 내가 얼마를 나중에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노후대비를 잘 하고 있는지 점검을 하고 싶으실 겁니다.
그런분들을 위해 이번 시간에는 국민연금 수령액을 내가 스스로 알아보고 노후준비를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한방에 알려드리려고합니다.
이번 포스팅에 앞서 국민연금 수령액을 확인하고싶으신 분들은 공인인증서가 필수이니 공인인증서를 가지고 이번 포스팅의 순서를 잘 따라오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이번 포스팅을 통해 본인이 가입한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까지 한 번에 알 수 있으니 잘 따라오시기 바랍니다!
1. 네이버 혹은 다음 등 검색포털에 국민연금 공단을 검색합니다. 검색 후에는 국민연금공단 사이트 클릭!
2. 사이트 상단에 있는 전자민원이용(로그인 필요)를 클릭!
3. 화면이 바뀌면 개인인증을 클릭!
4. 본인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 후 미리 준비하였던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해줍니다.
공인인증서가 없으신 분은 진행이 어려우니 공인인증서를 꼭 발급받으셔야 하며
공인인증서는 본인이 이용하는 은행에서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tip> 공인인증서는 굉장히 많은 곳에서 사용되니 이참에 미리 받아놓으시면 유용하게 쓰일 곳이 많으실 겁니다.
5. 맨 위 상단 우측에 있는 전체서비스를 클릭 후 가입내역/예상연금 탭에 있는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
5. 국민/개인/퇴직/주택연금 모두 알아보기를 클릭! 이 클릭 한 번으로 우리는 본인의 노후대비 정도를 한 번에 알 수 있을 겁니다.
6. 본인의 이름이 나오고 '홍길동 고객님'이 나오면 잘 진행하신겁니다. 이후 조회버튼을 클릭!
7. "요청하신 사항을 처리중입니다." 라는 멘트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을 처리중이오니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8. 이후 연금보험 정보제공 요청 및 제3자 제공 동의에 관한 사항,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한 사항을
모두 체크해주세요!
9. 그러면 위와 같이 개인 국민연금, 개인연금, 퇴직연금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자료가 눈앞에 나타날 겁니다!
처음 이를 보신 분들은 정말 신기하기도 하고 본인의 노후정도를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으니 스스로를 점검해보는데 정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외에 다양한 기능들이 있으니 이것저것 본인에게 필요한 것들을 확인하시고 유용하게 쓰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생활 속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급여 신청방법(feat. 금액, 지원기간, 변동내용) (0) | 2020.08.19 |
---|---|
주거급여 지원금(대상, 중위소득, 신청방법) (0) | 2020.07.22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지원금, 소득인정액 알아보기) (0) | 2020.07.20 |
기초생활수급자 조건(신청, 소득, 대상, 혜택 등) (0) | 2020.07.16 |
요양보호사 교육 및 교육기관(자격취득, 교육비, 시험) (0) | 2020.07.15 |
댓글